From the Other to an Observer
Park Choon Ho (The Chief Curator, Kim Chong Yung Museum)
What is the biggest asset of an author? Probably, it is experience, because an artwork is the combination of an author's experience and imagination. An experience is not limited to a person's physical experience. In a broad sense, an experience includes reenactment as well as thinking, which is steadily tracking something in one's mind. The life in a region where the language is unfamiliar is deeply inscribed in a person's heart and mind as a special experience. Th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may cause some inconveniences but they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review oneself in a more objective manner. Particularly, an artist absolutely needs the time of being alone and unaided. Seo, Hye-soon had that kind of time for ten years in France as a perspective artist and as an artist.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s 'Slip or Nothing.' The exhibition hall has two installation artworks entitled, <Drawing No. 4> and <Harmony>, and two single-channel videos works, <No Title> and <Timbre>.
The spectators will be embarrassed at the moment they view <Drawing No. 4>, because it is not a common drawing artwork. The paper is on the floor. The speaker cables hang from the ceiling and spread on the paper, as if they were the embodiment of the surrealists' automatism. In the speaker of the artwork, an unknown Youtuber is zealously teaching how to draw well. The spectators view the hanging and spreading cables while listening to the lecture. They make the full use of their imagination to figure out how the title, <Drawing No. 4>, is related with the artwork.
<Harmony> is an installation artwork built by combining soundproofing sponge as a unit. It reminds the minimal artworks by Carl Andre. A white unit prepared by casting sponge with porcelain ceramic and by performing calcination in a kiln catches the eyes between the black soundproofing sponges. The speakers on the floor give the clear and tiny sound that is generated by the contraction of the porcelain just put out of the kiln due to the rapid temperature change to room temperature. The sound was recorded by the artist while cooling the artwork in her workroom after the calcination. The white noise in the workroom, the routine noise that does not draw people's attention, is also heard. The spectators will try to think about the harmony between the soundproofing sponges, sponge-cast earthenware, the mixture of the white noise from the workroom and the exhibition hall, the objet and sound, and the mixture of the spaces in connection with the title, <Harmony>.
The exhibition hall has two single-channel video works. <No Title> (17’20”) shows a restlessly spinning wheel that forms a bowl without any camera action, while four old pop songs, "Que Sera Sera (Whatever Will be Will be)," "Too Young”, “Young love”, “Moon river”, "Besame Mucho," and "Over and Over," are played as the background music. Perhaps it may be because of the songs that the spinning wheel reminds a turntable. She used the six songs in a specific sequence as a background music according to the specific scenes, but gave the artwork the title, <No Title>. This means that the she entrusted to the spectators' imagination the definition of the artwork. She requires the spectators to actively appreciate the artwork. Nevertheless, <No Title> may be an artwork about love between man and woman, if guessed only from the titles of the songs.
<Timbre> (3’09”) shows a plastered speaker dipped in water. A water drop falls into the middle of the water. A ripple is formed by the water drop. This is repeatedly played. Watching the video continuously will make the spectators feel as if the ripple is caused by the sound from the speaker. However, the artwork is the only soundless work in the exhibition. The sound is propagated only visually. Imagine what the spectators will imagine while watching the silent video.
You cannot appreciate Seo, Hye-Soon's artworks just by using your senses. Absurdity is found between the artwork and the title. The spectators have to reason the meaning of the artworks by combining the given elements of the artworks with their own imagination. Like the famous saying, "You can see as much as you know," imag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knowledge. Some artworks may be well appreciated by using only the senses, but appreciation of artworks is mostly a positive action made by the spectators to create meanings by using their imagination to the full. That's why our ancestors used the expression, "Read the painting," rather than "View the paintings."
Some scholars argue that translation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is virtually impossible. How much more so is it to translate a visual artwork created in a formative language into a text languag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transfer the meaning of an artwork to the spectators no matter how thoroughly the artist may explain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Slip or Nothing>, and the individual artworks in the exhibition.
Due to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rtworks and their titles, I came to focus on the verb, 'slip,' in the title of the exhibition. It reminds me of "Slippage of the Signified Under the Signifier" that the psychoanalyst, Jacques Lacan, mentioned. This means that the signifiers of unconsciousness, such as dream, behavior, language, do not completely expose the signified. Thus, what is signified may be understood only by considering the individual signifiers in relations with other signifiers. If a signifier continuously slips, no communication may be carried out.
Therefore, Lacan suggested the concept of "point de caption,"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slippage of a signifier is discontinued and thus the subject is eventually born .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understanding words is the segmentation of sounds. Segmentation of the sounds of words by the listener determined whether the sound is heard as a noise or as a word. If not segmented, the sound may not play the role of a signifier. Let's get back to <Slip or Nothing>. 'Slippage' is based on the one-dimensional recognition of a signifier. If the signifier is not recognized, it is just 'nothing.' Yes, she was expressing the matters of communication.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her another video artwork, <Gap Between Time and Space> (0’49”), which is not displayed in this exhibition. The video shows several pictures of an artwork by a female Chinese student who is new in France and who is not good at speaking French with the recording of her interview with a French professor about the artwork. Both are looking at a drawing on the desk. The subtitle implies that they are having a hard time because they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y probably did not want to make an eye contact with each other because they could not converse. So, Seo, Hye-Soon might have decided to show some captured images from the video. It takes time for the Chinese student to answer to the questions of the professor, because she has to answer after translating and understanding what she listens. Or it may take days or months until she truly understands the professor's words, because she has to understand the French language.
During her life in France for about 10 years, Seo, Hye-Soon experienced a kind of 'language disorder.' After some time, she found herself immediately after coming to France through the female Chinese student on the video, <Gap Between Time and Space>. She said that she was almost the same as the female Chinese student on the video, when she was a freshman in the undergraduate school. She had to focus on listening rather than talking, and she had a time gap between listening and understanding. She felt frustrated when she could not express herself in words. She started to focus on things that were present around her but failed to draw attention, like white noise. She prepared the artwork by undergoing experimental works with various kinds of sounds.
Four years have passed after she came back from France to Korea. After coming back, she stopped the artwork for two years because she was so unfamiliar with the art world in Korea. Among the artworks displayed on the exhibition, the artworks that she prepared after coming back to Korea are <Drawing No. 4> (2018), <Harmony> (2017), and the single-channel video artwork, <No Title> (2016-17). <Gap Between Time and Space> and <Timbre> were those that she prepared in France. The exhibition indicates that a change has occurred in her artworks. She looked herself in France as 'the other' and 'a minority,' now she is an observer at the edge of the society, keeping a certain distance with the center and observing the center through objectification. Her artworks are the results from the contemplation of 'here right now.' The spectators of her artwork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with refreshed eyes what they have not noticed because of being too familiar to them, like white noise.
2018
타자에서 관찰자로
박춘호 (김종영미술관 학예실장)
작가에게 가장 큰 자산은 무엇일까? 아마도 경험일 것이다. 작품이라는 것이 작가의 경험에 상상력이 결합된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경험이라는 것이 반드시 몸소 체험한 것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넓은 의미로 추체험과 더불어 무엇인가 오랜 시간 추궁해 가는 것, 즉 사유도 포함된다. 특히 언어가 낯선 곳에서의 삶은 개인에게 더욱 특별한 경험으로 뼛속 깊이 각인될 것이다.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답답함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을 좀 더 객관화시켜 살펴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특히 예술가에게는 ‘무원고립의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서혜순은 프랑스에서 작가지망생으로, 그리고 작가로서 십 년 동안 바로 그 시간을 가졌다.
이번 전시 제목은 『미끄러지거나 혹은 아무것도 아니거나 Slip or Nothing』이다. 전시장에는 크게 3개의 작품이 전시되어있다. 「드로잉 4번」과, 「하모니」라는 제하의 설치 작품과 두개의 싱글 채널 비디오 작품-「무제」와 「음색」-이 있다. 모든 작품의 공통점은 다양한 ‘소리’가 함께 한다는 것이다.
관객은 「드로잉 4번」을 보는 순간 당혹스러울 것이다. 일반적인 드로잉 작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종이가 바닥에 깔려있다. 천장에서부터 그리고 종이 위에 스피커 케이블이 마치 초현실주의자들이 오토마티즘 automatism을 실현하려는 듯 늘어지고 펼쳐져 있다. 작품 속 스피커에서는 이름 모를 유튜버 Youtuber가 그림 잘 그리는 방법을 열강 하고 있다. 관객은 강의를 들으며 동시에 늘어지고 펼쳐진 케이블을 바라본다. 그리고 「드로잉 4번」이라는 제목을 떠올리며 이들이 제목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상상의 나래를 펼칠 것이다.
「하모니」는 방음 스펀지를 하나의 유닛으로 조합한 설치작업이다. 칼 앙드레 Carl Andre의 미니멀 작업을 연상시킨다. 한편 백자토로 스펀지를 캐스팅해 가마에서 소성한 하얀 유닛이 검은 방음 스펀지 사이에서 포인트로 시선을 사로잡는다. 바닥의 스피커에서는 가마에서 막 커낸 백자가 실온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로 수축하며 발생하는 청아한 소리가 미세하게 들려온다. 이 소리는 그녀의 작업실에서 소성된 작품을 식히며 녹음된 것으로, 당시 작업실의 백색 소음-일상적인 소리이기에 주의를 끌지 않는 소음-도 함께 들린다. 관객은 방음을 위한 스펀지와 스펀지를 캐스팅한 도자기, 작업실과 전시장 백색 소음의 혼융, 오브제와 소리, 그리고 공간의 섞임을 통해 제목 「하모니」를 떠올리며 어떤 조화인지 머릿속에 그려보고자 할 것이다.
두 개의 싱글 채널 비디오 작업이 있다. 「무제」(17’20”)는 카메라 움직임이 일절 없이 그릇을 성형하는 물레가 Que Sera Sera Whatever will be will be, Too young, Young love, Moon river, Besame mucho, Over and over 여섯 곡의 올드 팝을 배경으로 끊임없이 돌아가고 있다. 노래 때문인지 물레가 돌아가는 모습이 턴테이블을 연상시킨다. 그녀는 특정한 네 곡의 노래를 특정 순서에 맞춰 특정 장면의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였으면서도 작품 제목은 ‘제목 없음’이다. 어떤 작업인지 관객의 상상에 전적으로 맡기겠다는 의미이다. 그녀는 관객에게 능동적인 작품 감상을 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가사까지는
아니더라도 노래의 제목으로 인해 「무제」는 남녀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업이 아닐까 싶다.
「음색」(3’09”)에는 석고로 떠낸 스피커가 물에 잠겨있다. 그 한 가운데로 물방울이 떨어진다. 그리고 파문이 일어난다. 이 영상이 반복 재생된다. 계속해서 화면을 보노라면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로 인해 파문이 일어나는 것 같이 보인다. 사실 이 작품은 이번 전시에 출품한 작품 중 유일하게 무음이다.
소리는 시각적으로 만 울려 퍼진다. 관객이 이 무성의 영상을 보며 어떤 음색을 상상할지 궁금하다.
서혜순의 작품은 단순히 감각만으로 감상할 수가 없다. 그녀의 작품은 ‘~인 것’ 같으나 작품과 제목이 모순되어 부조리 해 보이기 때문이다. 관객들은 그녀의 작품을 대하며 주어진 요소들을 자신의 상상력과 조합하여 작품의 의미를 추론해야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과 같이 상상력은 지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정 작품들은 감각에 의존해 감상해도 무방하지만 대부분의 작품 감상은 관객이 상상력을 총 동원하여 의미를 만들어 나가는 적극적인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런 연유로 우리 선조들은 그림 감상이라 하지 않고 ‘독화讀畫’, 즉 ‘그림을 읽는다’고 했다.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것 자체에 대해서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여럿 있다. 하물며 조형언어로 제작된 시각예술작품을 어법이 전혀 다른 문자 언어로 온전히 번역할 수 없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결국 시각예술에서는 작가가 아무리 상세하게 설명하고 묘사하여도 관객에게 그 의미가 온전하게 전달 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그의 전시 제목 『미끄러지거나 혹은 아무것도 아니거나』와 전시된 각각의 작품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혜순의 작업에서 제시된 작품과 제목이 상치相馳됨에서 비롯되는 모순으로 인해 필자는 전시 제목의 ‘미끄러지다’는 동사에 주목하게 된다. 왜냐하면 정신분석학자 라캉 Jacques Lacan이 ‘기표가 기의에 닿지 못하고 계속 미끄러진다.’고 한 말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이것은 무의식이 발현된 기표라고 할 수 있는 꿈, 행위, 언어 등이 기의를 온전히 드러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각각의 기표를 다른 기표와의 관계 속에서 살필 때만이 그 의미를 살필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에 기표가 계속해서 미끄러지기만 한다면 어떠한 의사소통도 불가능할 것이다. 그래서 그는 고정점 point de caption이라는 개념을 상정하였다. 고정점은 기표가 미끄러짐을 중단시키는 지점으로 이때 주체가 비로소 태어나는 것이다.
한편 말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소리의 분절이다. 상대방의 말을 듣는 사람이 그 소리를 분절 할 수 있는지 여하에 따라 소음이 될 수도 있고 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분절할 수 없다면 그 소리는 기표로서의 역할을 못한다. 다시 『미끄러지거나 혹은 아무것도 아니거나』를 살펴보자. ‘미끄러지는 것’은 기표에 대한 일차원적인 인식을 전제하는 것이다. 기표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아무것도 아닌 것’이다. 한마디로 그녀는 소통의 문제를 살피고 있다.
이번에 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자는 서혜순의 비디오 작품 「시간과 공간의 간격」(0’49”)을 주목한다. 작품은 프랑스에 유학 온지 얼마 되지 않아서 프랑스어가 너무나 서툰 중국 여학생의 작품에 대해 프랑스 교수가 중국 여학생과 질의응답 하는 실제 상황을 녹음한 것의 일부분을 현장 사진과 함께 들려준다. 화면 속 두 사람은 모두 책상 위의 드로잉 작품을 쳐다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소통 불가의 상황에서 난처한 시간을 보내고 있음을 자막을 통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온전한 대화가 불가능하기에 두 사람은 대화 중에 눈을 마주치지 않았던 거 같다. 그래서 서혜순은 화면에 정지된 영상을 선택하여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싶다. 화면 속 그녀가 교수와의 질의에 응답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듣고 번역을 한 후 이해해서 대답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 말을 이해하기 까지는 몇 날이 아니 몇 달이 걸릴 수도 있다. 귀가 뜨여야 되기 때문이다.
서혜순은 십 년간 프랑스에서 생활하며 일종의 ‘언어 장애’를 경험하였다. 그녀는 시간이 지나 프랑스에서 자신의 처음 모습을 「시간과 공간의 간격」 속에 등장하는 중국 여학생을 통해 발견하였다. 그녀는 자신이 학부 1학년 때 작품 속 중국 여학생과 거의 유사한 처지였다고 한다. 말하기 보다는 듣는 데 치중할 수밖에 없었고, 대화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시차가 발생하였다. 그녀는 자신을 말로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답답함을 느꼈다. 그녀는 주변에서 존재하기는 하나 주목받지 못하는 것에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말도 소리이기에 그녀는 소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녀는 소리 중에서도 흔히 듣는 소리이지만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는 소리에 관심을 가졌다. 백색 소음이 좋은 예이다. 다양한 소리를 소재로 실험적인 작업을 거쳐 이번 전시에 이르렀다.
서혜순이 프랑스 생활을 정리하고 귀국한지 사 년이 되었다. 그녀는 귀국 후 이곳 미술계가 낯설어 이년간 작업을 쉬었다고 한다. 이번 전시 출품작 중 귀국 후 제작한 작품은 「드로잉 4번」(2018), 「하모니」(2017), 그리고 싱글 채널 비디오 작업 「무제」(2016-17)이다. 「시간과 공간의 간격」과 「음색」은 프랑스에서 제작한 작품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녀의 작업에 모종의 변화가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녀가 프랑스에서는 타자이며 소수자의 관점에서 자신을 살폈다면, 지금 이곳에서는 주변부에 위치한 관찰자로 중심부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중심부를 객관화 시켜 살피고 있다. ‘지금 여기’에 대한 성찰의 결과물이 작품인 것이다. 결국 관객들은 그녀의 작품을 접하며 마치 백색 소음과 같이 너무나 익숙한 일상이었기에 놓치고, 스쳐 지나가는 것들을 새롭게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2018